• 0
>원어민 중국어>한어교과서 1학년 하권

한어교과서 1학년 하권

원어민 중국어 초급

저자/역자: 량춘광

출판일: 2019-06 , ISBN: 978-89-97964-95-6 44720 , 기타: 16쪽 | 17x24mm

판매가: 12,420원 ₩ 13,800원

수량:

미리보기 장바구니 바로구매

책소개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1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제고하며 창의적 정신을 양성하고 전면적 발전을 추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풍부한 내용, 참신한 표현수법, 최적화한 학습과정과 학습방식은 독자들이 중국어를 공부함에 종합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본 교과서는 아래와 같은 특점이 있다.  

1. 본 교과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처음부터 중국어 기초를 충분히 다지게 하기 위하여 한어 병음지식과 식자(识字)능력을 키우는 것을 전제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식자와 습자, 어휘, 독해, 듣기 · 말하기 등 면에서 기초를 충분히 다질 수 있게 하기 알심을 들여 편찬하였다.

2. 학습자들의 실제와 결합하여 생동감 있는 언학습환경을 마련하고 풍부하고 재미있는 학습활동도 마련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즐겁게 배우고 배우기를 원해하는 교과서, 놀이와 학습이 병행하는 교과서를 만들려는 목적을 실현하였다. 

3. 본 교과서의 민족특징은 다음과 같다. 중국 조선족 어린이들이 한어를 학습하는 특성을 따랐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 표지와 삽화 등 디자인  모두가 민족적 요소를 다분히 띠고 있어 어린이들의 인지능력 발굴에도 유리하다.

 

이 분야 신상품

  • 한어교과서 3학년 하권

    심애화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3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글짓기, ‘한어낙원’,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 한어교과서 3학년 상권

    장화욱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3학년 상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글짓기, ‘한어낙원’,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 한어교과서 2학년 하권

    장화욱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2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

  • 한어교과서 2학년 상권

    장화욱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2학년 상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

  • 한어교과서 1학년 상권

    량춘광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1학년 상권은 ‘머리말’, ‘그림보고 말하기’, ‘한어병음’, ‘병음지식’,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9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