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원어민 중국어>한어교과서 2학년 상권

한어교과서 2학년 상권

원어민 중국어 초급

저자/역자: 장화욱

출판일: 2019-06 , ISBN: 978-89-97964-96-3 44720 , 기타: 16쪽 | 17x24mm

판매가: 12,600원 ₩ 14,000원

수량:

미리보기 장바구니 바로구매

책소개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2학년 상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제고하며 창의적 정신을 양성하고 전면적 발전을 추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풍부한 내용, 참신한 표현수법, 최적화한 학습과정과 학습방식은 독자들이 중국어를 공부함에 종합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본 교과서는 아래와 같은 특점이 있다.  

1. 식자(识字)재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선택한 작품의 주제가 선명하고 언어가 아름다워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언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독해와 밀접히 결합되어 언어지식을 축적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2. 본문 뒤의 훈련은 사고력을 계발하고 중국어 실천능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학습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자신감을 강화하는 데 이로우 중국어소양을 효과적으로 제고하도록 한다. 

3. 본 교과서는 중국어의 언어 특징, 법칙 등 입각하여 가급적으로 일상생활에 접근하는 화제를 선택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특정된 사교언어(交际语言)의 활용방법을 배우고 언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분야 신상품

  • 한어교과서 3학년 하권

    심애화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3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글짓기, ‘한어낙원’,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 한어교과서 3학년 상권

    장화욱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3학년 상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글짓기, ‘한어낙원’,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력을

  • 한어교과서 2학년 하권

    장화욱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2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능

  • 한어교과서 1학년 하권

    량춘광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1학년 하권은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合作), 교류(交际)의 학습방식을 제창하고 중국어 소양과 실천

  • 한어교과서 1학년 상권

    량춘광

    의무교육 조선족 한어교과서 1학년 상권은 ‘머리말’, ‘그림보고 말하기’, ‘한어병음’, ‘병음지식’, ‘한자 배우기 · 본문’, ‘듣기 · 말하기’, ‘한어낙원’, ‘자습 작품’, ‘부록’ 등 9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본 교과서의 도구적(工具性) 목표는 ‘언어교학’이다. 한어교과서는 개방적이고 활력적인 교과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자주(自主), 합작(